2045 펠로우십 프로그램 일정

2045 펠로우십은 2월 오리엔테이션을 시작으로
6개월간 사회문제에 대해서 생각해볼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step. 01

Orientation


February

2045 펠로우십 소개 및 설립 배경
성공적인 펠로우십 경험을 위한 체계적인 가이드 제공

step. 02

Leadership Summit


March

강의 주제: 국제정치, 리더십, ESG, 교육문제 등
전문 연사들과 심도있는 주제토론

step. 03

Monthly Gathering​

March ~ July​

매달 저명한 연사를 모시고, 사회문제에 대한 다양한 주제들에 대해서 토론할수 있는 시간을 가집니다.

step. 04

Final Presentation



August

반년간 팀원들과 생각한 사회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해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으로 전문가 심사위원들 앞에서 최종 발표

step. 05

Global Development Opportunity

Second half

팀 주제와 관련된 국가를 방문하여 해외연수를 가집니다. 해외 전문가들을 연결시켜주며 사회문제에 대해서 심층 분석할수 있는 기회를 드립니다. 

step. 06

1st Winner Trip

팀 주제와 관련된 국가를 방문하여 4박 5일간 해외연수를가집니다. (*연수일정은 팀원들과 멘토들의 시간을 고려하여 책정하며개인의 부득이한 사정으로 전원 참석이 불가한 경우, 다수가 참석할수 있는 시간을 우선하여 연수일정을 정하게 됩니다.)

step. 01

Orientation

2045 펠로우십 소개 및 설립 배경
성공적인 펠로우십 경험을 위한체계적인 가이드 제공


step. 02

Leadership Summit

강의 주제: 국제정치, 리더십, ESG, 교육문제 등
전문 연사들과 심도있는 주제토론

2024년 1기 Summit list

Ethics

인공지능 윤리와 예술

신혜린
고려대 부교수

Politics

복합위기 시대, 한반도 통일에 대한 접근

김형석
전 통일부차관 / 대진대 교수

Economic

경제, 이대로 가면 정해진 미래

변양호
VIG 파트너스 고문

Economic

Corporate Governance

이석준
젬백스카엘 바이오 총괄사장

Politics

미중 관계와 한국의 미래

최재천
전 국회의원 / 변호사

society

변곡점에 선 지구사회, 미래세대의 역할

김원수
전 UN사무처장

Economic

ESG Initiatives and the Role of Government

배수현
Envisioning 파트너스 이사
step. 03

Monthly Gathering

매달 저명한 연사를 모시고,사회문제에 대한 다양한 주제들에 대해서 토론할수 있는 시간을 가집니다.

2045 펠로우십 Fellowship - 노인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한 비영리 법인 (3월)
2045 펠로우십 Fellowship -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세계 질서 (4월)
2045 펠로우십 Fellowship - 한국 교육의 현재와 미래(5월)
2045 펠로우십 Fellowship - 뉴웨이즈가 걸어온 길(6월)
2045 펠로우십 Fellowship - 2024 대한민국 교육현실(7월)
step. 04

Final Presentation

반년간 팀원들과 생각한 사회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해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으로 전문가 심사위원들 앞에서 최종 발표

2045 펠로우십 Fellowship - 지역소멸 문제에 집중하는 Dream Team
2045 펠로우십 Fellowship - 대한민국 고등학생 진로교육 변화의 방향성 제안
2045 펠로우십 Fellowship - 최종발표 Brain Drain
2045 펠로우십 Fellowship - AI와 함께하는 미래 대비하기
2045 펠로우십 Fellowship - 고령 근로자 민간 고용 활성화를 위한 유연·단축 근무 확산 정책 방향성 제언
step. 05

Global Development Opportunity

팀 주제와 관련된 국가를 방문하여 해외연수를 가집니다.
해외 전문가들을 연결시켜주며 사회문제에 대해서 심층 분석할수 있는 기회를 드립니다.

step. 06

1st Winner Trip

팀 주제와 관련된 국가를 방문하여 4박 5일간 해외연수를 가집니다.

Won Su Kim

김원수

전 United Nations 사무차장

김원수는 40여년의 국내외 공직 근무후 태재 미래전략연구원의 국제자문위원장으로서 글로벌 협력 거버넌스 연구를 이끌고 있다.

또한 경희대 미래문명원장으로서 새로운 인류 문명의 담론 연구와 실천 활동에도 관여하고 있다. 김원수는 30년간 한국 외교관, 10여년간 국제 공무원으로 봉직하였다.

한국 외교관으로서 대통령 국제안보 비서관, 외교통상 비서관을 역임하고 외교부 정책기획관과 지역협력 대사를 거쳐 반기문 당시 외교장관의 유엔 사무총장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이후 제8대 사무총장 인수위 대표, 사무차장보겸 사무총장 비서실 차장, 유엔시스템 고위조정관, 사무차장겸 군축 고위대표등의 다양한 책임을 통해 글로벌 도전 과제에 대한 유엔 시스템의 대응을 최고위급에서 조율하였다.

김원수는 서울대 법대 (법학사), 미국 죤스 홉킨스대 국제문제 대학원 (석사), 스탠포드대 법학원 (석사및 박사후보)에서 수학하였고 스탠포드대 국제 안보 연구소와 아태 연구소에서 방문 연구원으로 활동하였다. 김원수는 연세대, 인천대, 경희대등에서 석좌 교수로서 후학 양성과 아울러 비엔나 소재 핵실험 금지조약기구 (CTBTO)의 현인 그룹, 반기문 세계 시민센터의 이사등으로서 국제 기구에도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Hyung Suk Kim

김형석

전 통일부 차관, 현 통일생각 이사장

김형석 통일생각 이사장은 대진대 교수와 대한체육회 남북체육교류위원장도 맡고 있습니다.

전남 보성 출신으로 1988년 행정고시 32회로 공직생활을 시작해 1993년부터 통일부에서 다양한 보직을 역임한 정통 통일정책 관료로 대통령비서실 통일비서관을 거쳐 제23대 통일부 차관을 마지막으로 2017년 공직을 떠났습니다.

순천고 졸업 후 서울대 영어영문학사, 서울대 행정학 석사, 경기대 정치학 박사(북한학 전공) 학위를 받았습니다.

저서로는 『이야기로 풀어보는 통일학개론』(2020)이 있습니다.

Su Hyeon Bae

배수현

Envisioning 파트너스 이사

배수현 이사는 인비저닝파트너스에서 기후테크, 에듀테크, 헬스케어 부문의 스타트업 투자를 담당하고 있으며 인비저닝의 임팩트 투자에 대한 프레임워크 및 측정 방안을 정립해 왔습니다.

부동산 임팩트 투자사인 공공그라운드의 대표를 역임했으며, 글로벌 경영 컨설팅사인 McKinsey & Company에서 경영 컨설턴트로 재직했습니다.

현재 임팩트 생태계를 육성하는 루트임팩트 및 공익법단체 사단법인 두루의 이사이며, 2019년부터 글로벌 여성 창업가들을 매년 선정하여 수상하는 Cartier Women’s Initiatives 의 동아시아 지역 심사위원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배수현 이사는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하버드비즈니스스쿨에서 MBA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Yang Ho Byun

변양호

VIG 파트너스 고문

서울대 무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던일리노이대학에서 경제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행정고시합격 후 1977년 재무부에서 공직을 시작했고 IMF에서 senior economist로도 일한 바 있습니다.

공직에 있으면서 1997년 외환위기 극복팀의 일원으로 외채만기협상, 외평채 발행 등을 주도하였고 2001-2004년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장으로서는 조흥은행/서울은행 매각, 하이닉스/LG카드 정상화 작업 등 금융/기업구조조정 업무를 수행하였습니다.

2005년 공직을 사임하고 보고펀드를 설립하였고 지금은 VIG파트너스의 고문으로 있습니다.

2001년 WSJ에서 세계경제를 이끌어갈 15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된 바 있습니다.

He Len Shin

신혜린

고려대 부교수

신혜린 교수는 현대 미국/한국/일본 문화, 미디어, 그리고 비평이론을 전공했으며, 최근에는 디지털미디어, 현전의 기술, 인종/민족 담론과 타자의 존재론을 중심으로 사이언스 픽션 장르와 인공지능의 윤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테크노 오리엔탈리즘, 아포칼립스 장르의 정동적 미학, 사이버 팬덤과 트롤링, 디지털 시네마에서의 대안적 시간성; 포스트휴먼 정치성과 종교 담론 등에 대한 논문을 집필했으며, “현전의 기술 (사이버 문화 시대의 존재론)”에 이어 “소외의 기술 (아시안 아메리칸 사이언스 픽션)”, 그리고 “차별의 기술 (21세기 한국 영화)”에 이르는 일련의 저서를 집필 중입니다.

현재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및 대학원 부교수로 재직중이며 AI Ethics & Policy Center 소장을 역임하고 있습니다.

Seok Jun Lee

이석준

젬백스앤카엘 바이오 총괄사장

이석준 총괄사장은 서울대 경제학과와 밴더빌트대 로스쿨을 졸업한 미국 변호사로 20년 이상 글로벌 기업의 경영 전반에 걸친 법률 자문을 시행해 온 전문가이다.

그는 한국의 외환 위기 당시 한국은행 조사 제1부 및 총재 비서실에서 근무한 데 이어 미국 사베인스-옥슬리법(엔론 사태 이후 제정된 미국 기업회계개혁법)이 제정됐을 때 미국 연방증권거래위원회(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기업금융부에서 근무하며 한국과 미국의 자본시장 격변기를 모두 경험했다.

이후 2005년 미국 월스트리트 로펌 ‘데이비스 포크 앤 워드웰(Davis Polk & Wardwell)’을 시작으로 ‘클리포드 챈스(Clifford Chance)’, ‘레이텀앤왓킨스’에서 글로벌 기업의 경영 전반에 걸친 법률 자문을 시행한 바 있으며, 특히 국내외 유수 기업의 미국, 홍콩, 국내 상장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Jae Cheon Choi

최재천

전 국회의원, 변호사

최재천 변호사는 1987년 사법시험에 합격한 이후, 당시에는 일종의 벤처라 할 수 있는, 피해자를 대리하는 의료소송 전문 변호사로 세상에 고개를 내밀었다.

2004년 17대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한 이래, 18대는 낙선, 19대의 재선을 마지막으로 출마 포기를 선언하고 독서인으로서의 제자리로 돌아왔다. 의정활동 기간 국회직으로는 법사위 여당간사, 예결특위 야당간사 등을 역임하며 주로 남북관계, 미중관계, 한미경제관계, 국내외정보활동과 통계 등에 천착하는 의정활동을 수행했으며 당직으로는 민주당 전략홍보본부장, 정책위 의장 등을 역임하는동안 당내 대선과 총선 지방선거기획, 당내정책 총괄 업무, 민주당의 정책과 논리를 대내외적으로 홍보하는 TV토론 전문가 역할 등을 수행했다.

얼마전까지 국민통합위원회 기획분과위원장을 역임하며 극단의 시대를 뛰어넘는 정치·경제·사회적 통합을 꿈꾸었지만 이 또한 그만두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왔다. 스스로를 책벌레라 칭하며 지극히 불만족스러운 자신의 지적 수준에 대해 끊임없이 불만족스럽게 채찍질하며, 읽고 쓰고 말하는, 문자공화국 시민의 한 사람으로 오늘을 살아가고 있다. 여전한 주된 관심은 세계전략의 재편, 지정학·지경학 속에서의 한반도의 미래, 그리고 지속가능한 나라와 한반도에 사는 시민들의 미래상이다.

즐겨하는 것은 읽는 것, 이를 단서로 생각하는 것, 토론하는 것, 그리고 사람들을 만나고 엮는 것, 더불어 술잔을 기울이는 것.